본문 바로가기

숙법 뉴스/학생 동정

[학생동정] 교육봉사활동기 - 드림터치포올을 통해 아이들과 함께한 우리들의 시간 교육봉사활동기 - 드림터치포올을 통해 아이들과 함께한 우리들의 시간 제 2의 고향이 파주가 되었다고 이야기하는, 왕복 4시간 30분 이상의 매우 먼 거리가 너무 익숙하게 된 지금, 저의 열명의 제자들은 고3이 되었습니다. 대단하진 않지만, 겨울철 생각나는 따뜻한 우동보다 더 뜨거운 1년간의 교육봉사를 통해 느낀 이야기들을 나눠볼까 합니다. 아이들을 소개합니다 파주 세경고등학교는 공고입니다. 그 중에서도 제가 가르치는 학생들은 사연이 많은 친구들입니다. 경제적, 환경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당연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권리를 누리고 살지 못합니다. ‘공부보다 당장에 취업을 통해 돈을 버는 것’ 이 내게 주어진 삶이라고 생각했던 친구들입니다. 하지만 그 누구보다도 배움에 대한 의지가 있었고, 현재는 돈을 버는 것.. 더보기
[학생동정] 2015 청춘인문 논장판 은상 수상 (권수진, 법11) 법학부 권수진 학생(법11)이 2015 외국인유학생과 한국인 대학생이 함께하는 청춘인문 논장판에서 은상을 수상했습니다. 주최 :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l 주관 : 아리랑TV권수진(법학부12), 이소영(경영학부13) 출처: 숙명여대 홈페이지 공모전 수상소식 (http://www.sookmyung.ac.kr/app/smnews/view.jsp?cmsCd=CM0542&categCd=&ntNo=55&src=T_CONT&srcTemp=%EB%B2%95%ED%95%99&currtPg=1) 더보기
[학생 동정] 숙명인재상 수상 (문유진, 법11) 숙명인재상(정대 부문) 수상! - 문유진, 법11 2015년 5월 21일 본교 백주년기념관 삼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숙명 창학 109주년 기념식에서, 문유진 학생(법11)이 정대 부분을 수상하였습니다. 숙명인재상은 타의 모범이 되는 학교생활을 보낸 재학생에게 수여되며, 문유진 학생은 복지국가청년네트워크(http://wsyn.kr) 대표로 활동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청년의 목소리를 대변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온 점을 인정받아 상을 받게 되었습니다. 아래는 숙명여자대학교 홈페에지 핫뉴스 기사입니다. (링크) --------------------------------------------- 지난 5월 21일 우리대학 백주년기념관 삼성컨벤션센터에서 숙명 창학 109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기념식에는 이돈희 이사장과.. 더보기
[학생동정] 2014 대학생 고전독서 PT대회 최우수상 수상 (전현영 법11) 법학부 전현영 학생(법학11)이 2014 전국 대학생 고전독서 PT대회에 '큰따옴표' 팀 일원으로 참여하여 동양고전분야 최우수상을 수상했습니다. *공모전명: 2014 전국 대학생 고전독서 PT대회*수상자: '큰따옴표'팀 배혜지 (멀티미디어과학과 11) 상수현 (미디어학부 12) 전현영 (법학과 11)*수상내역: 동양고전 분야 최우수상 250만원 상당의 테마여행*주최: 한국고전번역원, 성균관대 오거서 더보기
[학생 동정] 유럽평화기행 후기 (허민지, 법13) 유럽평화기행 ‘나비의 꿈’ 세계평화를 위해 날다유럽 4개국에서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알리는 반전평화 캠페인 진행 “입을 다물고 있다고 해서 해결되지 않는다.”, “가만히 있는다고 문제가 해결되느냐 일본정부는 빨리 진실을 밝히고 사죄하라.” 2014년 6월 25일 파리 인권광장에서 열린 수요 집회 중 길원옥 할머니께서 하신 말씀이다. 이날의 수요 집회에는 유럽평화기행 ‘나비의 꿈’팀이 함께 했다. 유럽평화기행 ‘나비의 꿈’은 1차 세계대전 발발 100주년을 맞이하여 전쟁의 상흔이 남아있는 유럽 지역을 돌아보며 전쟁 없는 세상을 염원하고 현대 사회에 전쟁을 허용하는 어떠한 문화도 용납될 수 없음을 알리려 기획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알리고 해결하기 위해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기행에.. 더보기
[학생 동정] 법대 재학생들, 제13회 숙명토론대회 최우수상 수상 법대 재학생들, 제13회 숙명토론대회 최우수상 수상!- 선나래, 이슬아, 최윤진 (법12) 지난 5월 23일 (2014년), 숙명여대 임마누엘홀에서 열린 제13회 숙명토론대회 결선에서 법과대학 학생들로 구성된 팀이 승리하여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법과대학 12학번 재학생인 선나래, 이슬아, 최윤진 학생이 그 주인공입니다. 매년 열리는 숙명토론대회는 제13회 째를 맞이했고, 2014년에는 '한국사회 경쟁구조, 불행의 근원이다'라는 제목으로 열렸습니다. 주어진 논제를 놓고, 3명으로 구성된 팀이 자신의 주장에 대한 논증을 제시하고 상대반의 주장을 논박하고, 심사위원들의 채점으로 승패를 가르는 식으로 진행됩니다. 사전심사를 통해 선발된 48개 팀이 한 달 동안 조별리그와 16강 토너먼트를 거쳐, 최종결승전.. 더보기
[학생 동정] 국제인권연수 후기 (설경, 법10) [학생 소식] 설경 학우 (법10) 국제인권연수 후기 작년 8월 23일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열린 에서 우리 학생들이 대상과 최우수상을 석권했다는 소식 전해드린 바 있습니다. (기사 링크) '사람이다'라는 팀을 결성하여 대상(법무부장관상)을 수상한 설경(법학 10), 신나리(법학 10), 이진실(언론정보10) 학생, 그리고 다른 학교 학생들과 팀을 이뤄서 출전하여 최우수상을 받은 지나현(법학08) 학생이 그 주인공인데요. 지난 겨울 설경, 신나리, 이진실 학생은 부상으로 해외인권연수를 다녀오게 되었습니다. 설경 학생이 대표로 인권연수 후기를 기고해주셨습니다. (편집자 주) 국제무대에서 인권을 말하는 사람들을 만나다 숙명여자대학교 법학부 10학번 설경 국제인권규범의 실효성과 당위를 묻다 “유엔이 제.. 더보기
[학생 동정] 제네바 유엔인권연수 후기 (유다예, 법07) 작년 10월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에서 열린 에서 우리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현재 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다예 동문(법 07, 현재 대학원 법학과 재학 중)이 대상(외교부장관상)을 수상했다는 소식 전해드린 바 있습니다. (기사 링크) 유다예 동문이 부상으로 인권연수를 다녀와서 그 후기를 기고해주셨습니다. 의 한 장면 제네바 유엔인권연수 후기 ‘직접 본다’는 것의 중요성을 느끼다. 저는 대학교에 입학하여 ALSA(아시아법학생연합)학회활동을 통하여 이주노동자 인권에 관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 관심의 연장선으로 국제인권법을 공부하고자 동대학원 석사과정에 2013년 3월 입학하였습니다. 이주노동자 인권을 위해서 실질적으로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있을 무렵, 국제인권법을 공부하면서 유엔인권기제(m.. 더보기
[학생 동정] 2014년 1학기 법과대학 개강총회 성황리에 열린 2014년 1학기 법과대학 개강총회 3월 7일 금요일 오후 5시에 숙명여자대학교 명신관에서 법과대학 법학부 개강총회가 열렸습니다. 개강한 첫 주의 마지막 날, 교수님들과 14학번 새내기들과 민사법학회, 법지, 법리봉, ALSA, 형사법학회의 총 5개의 12, 13학번 학회원들이 참석했습니다. 참석해주신 교수님들의 소개로 시작하여 학부장님이신 권재문 교수님 대신에 정경수 교수님께서 법과대학의 오리엔테이션을 해주셨습니다. 숙명여대 법과대학 내 사법시험 합격자 수와 로스쿨 진학률을 통해 숙법의 위신을 소개해주셨고 이어 학년별로 배우게 되는 법학 과목과 졸업 후 나아갈 분야와 전망에 대한 자세하고 꼼꼼한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14학번들이 첫 전공 강의를 들어본 후에 각자 자신의 미래와 목표를 생각.. 더보기
[학생 동정] 숙법 대학원생, <2013 모의UN인권이사회> 대상 수상 숙법인의 활약이 대단합니다. 우리 대학 법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우리 대학 대학원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유다예 학생이 지난 10월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에서 열린 에서 대상(외교부장관상)을 수상했습니다. 제1회 대회에서도 숙법의 기은환(법학06), 최지숙(법학06) 학생이 최우수상을 수상했으니, 우리 숙법인들의 실력이 다시 한 번 입증된 셈입니다. 아래는 숙명여대 SM뉴스의 기사 내용입니다. 모의UN인권이사회 UPR대회는 국제사회 인권현안과 쟁점을 파악하고 전문성을 길러 국제인권기구나 NGO 등에서 활약할 인권 전문가를 키우기 위해 유엔인권정책센터, 한국인권재단, 서울대 인권센터, 휴먼아시아가 공동 주최하고 외교부가 후원하는 대회다. 4년에 한번씩 UN회원국들이 돌아가며 심의검토국을 지정, 해당국의 인권상황에.. 더보기